8분 전 - 8분 전

    세금 3.3% 계산법

    생활정보 / / 2021. 11. 2. 21:51

    세금-3.3%-계산법-이라고-적혀-있는-이미지
    세금-3.3%-계산법

    아르바이트생이나 프리랜서라면 세금 3.3%가 매우 친숙할지 모르겠습니다. 그 외 직장인들은 3.3% 세금에 대해 접할 일이 없기 때문에 무슨 의미의 숫자인지 감을 잡지 못하실 텐데요. 회사 소속의 직장인은 월 급여를 받을 때 4대 보험을 공제하고 받기 때문에 세전과 세후 월급이 나뉘게 됩니다. 비슷한 이유로 아르바이트생과 프리랜서는 총급여에서 3.3%를 공제한 후 급여를 받게 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원천징수 세금 3.3%

    일정한 소득 없이 일을 할 때마다 월급여를 받는 프리랜서나 아르바이트생의 경우 직접 세금을 내는 것이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고용주가 세금을 대신 납부하고 급여에서 세금을 제한 나머지를 월급여로 지급하는 방식입니다. 종합소득세를 계산할 때 세금 3.3%를 계산할 때는 사업소득으로 분류가 되는데요. 이때의 3.3%는 소득세 3% + 지방소득세 (소득세의 10%)로 이루어져 있습니다.

     

    만약 아르바이트를 했는데 원천징수 세금을 3.3%가 아닌 8.344%를 떼고 받으셨다면 4대 보험을 가입해준 아르바이트가 아닌가 알아보셔야 되겠습니다.

     

    매년 5월 종합소득세 신고 시 프리랜서와 아르바이트생은 세금 3.3%를 뗀 금액을 신고해야하는데요. 이것은 권고사항이 아닌 필수 사항이기 때문에 어렵다면 도움이 될만한 삼쩜삼 어플이나 홈페이지를 이용해 보는 것도 좋은 선택이 될 것입니다. 

     

     

    원천징수 세금 3.3% 계산법

    위에서 언급했듯 프리랜서나 아르바이트생이 월급여를 받을 때 제외되는 세금 3.3%는 기본 소득세 3% + 지방 소득세 0.3%가 더해진 비율입니다.

     

    월급여가 200만원일 경우 [2,000,000 * 0.033 = 66,000]으로 공제될 세금은 66,000원입니다. 그러므로 실수령액은 1,934,000원이 되는 것이죠. 간단하게 실수령액을 구하는 공식은 월급여 * 0.967을 하시면 바로 계산이 됩니다. (예:[2,000,000 * 0.967 = 1,934,000])

     

     

    우리나라처럼 세금을 많은 곳에서 걷는 나라는 없을텐데요. 세금이 너무 다양해서 실수로 연체되는 경우도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. 요즘은 각종 세금을 간편하게 계산해주는 어플이나 홈페이지도 있는데요 저 같은 경우 자비스의 삼쩜삼 서비스를 통해서 종합소득세 계산과 세금 신고를 했습니다. 전문 세무사가 직접 검토해주기 때문에 실수하거나 누락할 일이 전혀 없기 때문에 필요하시면 이용해 보시기 바랍니다.

    •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
    •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
    • 페이스북 공유하기
    •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